본문 바로가기
블로그 이야기

티스토리 수익형 블로그에 적용되는 구글 애드센스 주요 용어

by 므띠 2018. 6. 28.

안녕하세요.

티스토리는 수익형 블로그로 많이들 운영하시죠. 그래서, 이와 관련된 구글 애드센스에 사용되는 기본 용어 중 주로 쓰는 용어를 정리해 봤어요.

[광고 노출]

말 그대로 광고가 포스팅에 한번 나올 때 마다 이를 광고 노출로 봅니다.

포스팅에 1번 나오면 개 노출 1회인 것이죠. 특이한 건 수직배너의 경우는 광고 노출을 2회로 본다는 거예요.

길이가 길어서 2개의 크기로 계산하나 봐요.

 

[페이지뷰]

페이지뷰는 방문자가 구글 광고가 표시된 포스팅을 조회한 숫자 입니다. 그러니까, 그냥 광고가 있는 페이지에 들어와서 보면 위에서 나온 광고 노출과는 다르게 1회의 페이지뷰를 가지게 되지요.

예를 들어 한 페이지에 광고가 3개 있는 포스팅을 사용자가 방문하면 광고노출은 3회이고, 페이지뷰는 1회인거예요!

 

 [노출수]

노출수가 조금 헤깔리는데,  위의  예시를 활용해서 설명하면

ex) 한 페이지에 광고가 3개 있는 포스팅을 사용자가 방문하면 광고노출은 3회이고, 페이지뷰는 1회인데, 노출수도 1회인거예요. 근데 만약 광고가 서버 문제로 다운로드가 안되었다면 0회고, 페이지뷰는 1회 광고노출 0회 

이렇게 카운팅되는거 같아요.

 

[페이지 RPM]

블로거에게는 중요한 내용이죠!!!

이건 예상치 인데, 아래 설명대로 수익을 1000으로 나눈 수치예요.

그러니까, 본인의 포스팅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총 방문 수로 나누고 그 값에 1000을 곱해주면 이후 사람들이 1000번 방문을 하면 대충 이정도 수익이 생길꺼야. 라고 말해주는 거죠 ^^

높으면 좋은거예요~!

 

[클릭당비용(CPC)]

우리 말로 하면 클릭당 수익이 되겠죠!

구글 애드센스는 클릭이 일어나야 블로거에서 수익을 주죠. 아닌 경우도 있는데 금액이 매우 미미해요.

그때, 클릭된 광고의 종류에 따라 들어오는 수익금이 달라져요. 이 수익금은 광고주가 책정한 금액이예요.

 

 

[클릭률 CTR]

말 그대로 노출된 숫자 중에 실제 클릭이 이루어진 횟수를 나눈 비율이예요.

아래 식에 Impressions는 해당 페이지의 전체 노출수라고 보면 되요. Click은 클릭된 횟수고요.

 

[페이지 CTR]

페이지를 본 전체 횟수 중에 클릭이 일어난 비율이예요.

클릭률 CTR 이랑 비슷한데, 이건 그냥 페이지 방문만 해도 올라가니까 비율이 같거나 낮게 나와요~

 

더 많은 용어는 아래 링크의 구글 애드센스 고객센터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^^

https://support.google.com/adsense/topic/19363?hl=ko&ref_topic=3373519

 

용어집 - Google 애드센스 고객센터

 

support.google.com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320x100
반응형

댓글